심리학

인간의 기본적 욕구 2

나들e 2022. 8. 20. 22:14
반응형

4.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입장

Adler는 열등감과 이를 보상하려는 욕구를 인간의 기본적 동기로 보았다.

어린 시절에 심한 신체적 열등감을 경험한 바 있는 Adler는 신체 기관에 결함이 있는 사람들이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한다는 것을 관찰하면서 열등감과 그에 대한 보상 욕구가 인생 전반에 걸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물론 인생의 모습을 결정하는 것은 열등감 자체보다는 이에 대처하는 방식이다.

인간은 평생 열등감을 극복하고 우월감을 추구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노력을 한다.

Adler가 말하는 우월이란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여 유능함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는 한때 이러한 경향을 권력에의 의지라고 표현한 바 있으나 나중에 우월의 추구라고 개칭했다.

그는 우월의 욕구가 인류와 개인의 성장 및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겼다.

 

5. 대상관계 이론의 입장

대상관계 이론은 Freud의 이론으로부터 파생되어 발전한 현대 정신분석이론의 한 부류다.

대상관계 이론에서는 관계형성 욕구를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동기로 여긴다.

대상관계 이론에서 말하는 대상(object)은 인간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모든 것을 뜻한다.

대상관계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욕구는 대상, 즉 타자와 친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다.

이러한 주장은 신생아가 생리적 욕구의 충족보다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을 더 소중하게 여긴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관계형성 욕구를 지닌 신생아는 양육자,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경험에 근거하여 자신과 세상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틀을 형성한다.

어머니와의 초기 경험은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으로 내면화되어 성격의 기본구조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내면적 표상은 자신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생애 초기의 부적절한 관계경험은 성인기의 다양한 심리적 갈등과 성격장애의 원인이 된다.

 

6. 인본주의 심리학의 입장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자기실현 욕구를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라고 주장한다.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이라는 용어는 '개인이 지닌 모든 잠재력을 발휘하려는 동기'를 지칭하기 위해 Kurt Goldstein(1934)에 의해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에 따르면, 자기실현은 삶을 이끌어가는 주된 동력으로서 결과적으로 개인의 능력을 최대화하고 인생의 행로를 결정하게 된다.

이후에 Maslow(1954)가 자기실현 욕구를 가장 높은 수준의 욕구라고 주장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Maslow에 따르면, 자기실현은 모든 생명체 안에 이미 깃들어 있는 고유한 속성을 표출하고 발현하려는 성향을 의미하며 결핍을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성장을 추구하는 욕구다.

따라서 자기실현 욕구는 생리적 욕구를 비롯한 하위욕구가 충족될 때까지 주도적인 것으로 떠오르지 않는다.

인간중심치료의 창시자인 Rogers(1961) 역시 자기실현 경향성이 인간의 가장 주된 동기이며 다른 모든 동기의 원천이 된다고 보았다.

Rogers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가능성을 능동적으로 펼쳐 가는 긍정적인 존재다.

이러한 자기실현 경향성이 차단되거나 봉쇄되었을 때 인간은 부적응적 문제를 나타내게 된다.

 

7. 긍정심리학의 입장

긍정심리학의 창시자인 Seligman(2002)에 따르면,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다.

행복은 크게 긍정 정서, 잠재력 발현과 몰입, 의미감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행복의 첫째 요소인 긍정 정서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는 인간의 기본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즐거운 삶(pleasant life)을 통해 실현된다.

둘째 요소인 잠재력 발현은 자기실현 욕구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신이 하는 일에 열정적으로 몰두하는 몰입적 삶(engaged life)을 통해 구현된다.

행복의 셋째 요소인 의미감은 인간의 의미추구 욕구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자신보다 더 큰 것(: 가족, 직장, 사회, 국가, 인류)을 위해 공헌하는 의미 있는 삶(meaningful life)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 즐거운 기분을 느끼면서 자신의 일에 몰입하며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때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세 요소를 조화롭게 잘 충족하는 것이 행복한 삶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RyanDeci(2000)는 인간의 동기를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구분한다.

외재적 동기는 외부의 보상을 추구하기 위한 것인 반면, 내재적 동기는 인간이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내면적인 욕구를 뜻한다.

이들은 내재적 동기를 새롭고 도전적인 것을 추구하고, 자신의 능력을 확장하여 연마하며, 항상 탐구하고 배우고자 하는 선천적 성향이라고 정의하면서 세 가지의 기본적 욕구를 제시하였다.

그 첫째는 유능성(competence)의 욕구로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숙달된 경험을 추구하는 성향이고, 둘째는 관계성(relatedness)의 욕구로서 서로에게 지지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성향이며, 셋째는 자율성(autonomy)의 욕구로서 삶의 중요한 문제에 관해서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결정을 내리고자 하는 성향이다.

이러한 성향은 자발적인 동기를 촉발할 뿐만 아니라 성격 통합의 바탕이 된다.

이밖에도 의미치료(logotherapy)의 창시자인 Victor Frankl(1946)은 의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인간의 가장 중요한 동기라고 주장했다.

David Bakan(1966)은 인생의 가장 근본적인 동기를 주체성과 연대성이라고 지칭하면서 인생의 'Big two'라고 불렀다.

주체성(agency)은 독립적인 존재로서 유능성을 추구하려는 욕구이며, 연대성(communion)은 타인과 친밀한 유대를 형성하려는 욕구를 의미한다.

Ernest Becker(1973)는 불멸(immortality)의 욕구를 인간의 가장 근본적 욕구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의 무의식에는 죽음의 공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자신의 존재를 영원히 존속하고자 하는 불멸의 욕구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인류문화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2022.08.20 - [심리학] - 인간의 기본적 욕구 1]

 

인간의 기본적 욕구 1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은 무엇일까? 인간은 근본적으로 무엇을 추구하는 존재일까? 이러한 물음은 인간의 보편적 성향, 즉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의 심리적 구조는 매우

jaunt-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