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진로성숙검사 / 경력진단검사

나들e 2022. 11. 7. 12:01
반응형

진로성숙검사

1. 진로성숙의 개념

진로성숙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특히 수퍼(Super)한 개인이 속해있는 연령단계에서 이루어야 할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로 보는 반면, 크라이티스(Crites)"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나타나는 상대적인 직업준비 정도"로 개념화하고 있다.

각 발달단계마다 수행해야 할 발달과업이 있는데, 이러한 발달과업의 인지 및 수행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다음 단계로의 발달을 촉진 및 이해하는 데 중요한 조건으로 간주된다.

진로성숙이 진로의 계획과 선택이란 점에서, 직업 성숙이 직업의 선택과 결정이란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 둘의 측정하는 준거는 거의 유사하다.

진로성숙은 자아의 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토대로 자신의 진로계획과 진로선택을 통합·조정해 나아가는 발달단계의 연속이다.

 

2. 진로성숙도검사(CMI; Career Maturity Inventory)

크라이티스(Crites)가 개발한 것으로서,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검사도구이다.

태도척도(Attitude Scale)와 능력척도(Competence Scale)로 구성되며, 진로선택 내용과 과정이 통합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태도척도에는 선발척도(Screening Form)와 상담척도(Counseling Form) 두 가지가 있다.

진로탐색 및 직업선택에 있어서 태도 및 능력이 얼마나 발달하였는지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진로발달 검사도구이다.

    (주의 : 직업적응이론과 관련하여 개발된 검사도구가 아님)

태도척도 · 독립성(Independence):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
( "나는 부모님이 정해 주시는 직업을 선택하겠다.")
· 참여도 또는 관여도(Involvement) : 진로선택 과정에의 능동적 참여의 정도
( "나는 졸업할 때까지는 진로선택 문제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겠다.")
· 지향성 또는 성향(Orientation) :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이해와 준비의 정도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한 바가 거의 없다.)
· 타협성(Compromise): 진로선택시 욕구와 현실에 타협하는 정도
( "나는 하고 싶기는 하나 할 수 없는 일을 생각하느라 시간을 보내곤 한다.)
· 결정성(Decisiveness) :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의 정도
(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
능력척도 · 목표선정(Goal Selection): 자아와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합리적인 직업선택을 하는 능력
· 계획(Planning) : 직업목표 선정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직업정보(Occupational Information) :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 고용에 관한 정보 등을 획득. 평가하는 능력
· 자기평가(Self-appraisal) : 자신의 성격, 흥미, 태도를 명확히 지각하고 이해하는 능력
· 문제해결(Problem Solving) : 진로선택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

 

3. 진로발달검사 또는 경력개발검사(CDI;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수퍼(Super) 진로발달의 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검사이다.

(주의 : Holland의 모델에 근거한 검사가 아님)

개인상담시 분석적 자료 및 예언적 정보를 제공하며, 상담을 필요로 하는 특별영역을 찾아내는 데 유용하다. 또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시행결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도 유용하다.

진로발달 및 직업성숙도, 진로결정을 위한 준비도, 경력관련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 준비도 등을 측정하기위한 것이다.

CDI는 다음과 같이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5개는 진로발달 특수영역을 측정하기 위해, 나머지 3개는 5개 하위척도 가운데 같은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조합하여 만든 것이다.

 

CP : 진로계획 또는 경력계획(Career Planning)

CE : 진로탐색 또는 경력탐색(Career Exploration)

DM : 의사결정(Decision-making)

WW : 일의 세계에 대한 정보 또는 직업분야 정보(World of Work Information)

PO : 선호직업군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Preferred Occupational Group)

CDA : 진로발달(경력발달)-태도(Attitude) CP + CE

CDK : 진로발달(경력발달)-지식과 기술(Knowledge and Skills) DM + WW

COT : 총체적인 진로성향 또는 경력지향성 전반(Career Orientation Total) CP + CE + DM + WW

 

경력진단검사

1. 경력진단의 개념

경력진단은 경력개발상의 문제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경력검사들은 연구에도 쓰이지만 경력개발이나 경력의사결정 절차를 제한하거나 지연시키는 문제가 무엇인지 결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2. 주요 경력진단검사

경력태도검사 또는 진로신념검사(CBI; Career Beliefs Inventory)

크롬볼츠(Krumboltz)가 개발한 것으로, 고등학생부터 성인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인식 및 세계관에 대한 문제를 확인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 내담자의 진로목표 성취를 방해할 수 있는 진로신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직업상황 또는 개인 직업 상황 검사(MVS; My Vocational Situation)

홀랜드(Holland) 등이 개발한 것으로, 주로 직업적 정체성 형성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직업정체성', '직업정보', '장애'의 세 가지 하위척도 점수를 통해 직업선택에 필요한 정보 및 환경, 개인적인 장애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진로결정척도 또는 경력결정척도(CDS; Career Decision Scale)

오시포(Osipow)가 본래 상담에서 사용하기 위한 진단적 도구로 설계한 것이나, 고등학생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진로 혹은 경력 관련 의사결정 실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개인의 진로결정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교육 및 진로 미결정의 선행요인을 알아내기 위한목적으로 사용된다.

'확신 또는 확실성(Certainity)''비결정 또는 미결정성(Indedision)'의 두 가지 하위척도를 통해 진로 혹은 경력과 관련된 비결정 여부를 추정하고 비결정의 선행단서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미검사  (0) 2022.10.23
정신분석적상담  (0) 2022.10.03
진로이론의 최근 경향 2  (1) 2022.09.23
진로이론의 최근 경향 1  (0) 2022.09.23
직업지도  (1) 202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