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스(Perls)에 의해 발전된 상담이론으로 ‘게슈탈트(Gestalt) 상담’이라고도 한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실존주의적 철학과 인본주의적 관점의 토대 위에 ‘여기-지금(Here and Now)'대한 자각과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다.
인간은 과거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가 아니라 현재의 사고, 감정, 느낌, 행동의 전체성과 통합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개인의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분노, 불안, 죄의식 등 부정적인 감정들이 밖으로 표출되지 못하고 충분히 자각되지 못한 채 미해결 과제로 남게 될 때 부적응이 발생하게 된다.
미해결된 감정들이 배경(Ground)으로 남아 있다가 그 감정들과 연관된 상황에 접하게 될 때 개인으로 하여금 문제해결을 위한 변화보다는 회피를 택하도록 함으로써 타인과의 효과적인 접촉이나 자기 자신의 개인적 성장을 방해하게 된다.
1. 상담 기법
① 꿈을 통한 통합(꿈 작업)
상담자는 내담자의 꿈을 통해 나타나는 소외된 부분 또는 갈등된 부분을 현실로 재현하도록 하며, 이를 성격으로 통합하도록 도와야 한다.
② 환경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스스로의 욕구와 감정을 명확히 하도록 환경과의 접촉을 증진하며, 주위 환경에서 체험하는 것을 자각하도록 도와야 한다.
③ 신체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현재 상황에서 느끼는 신체 감각을 자각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깨닫도록 도와야 한다.
④ 언어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의 말에서 행동의 책임소재가 불명확한 경우, 자신의 감정과 동기에 책임을 지는 문장으로 말하도록 해야 한다.
⑤ 과장하기
상담자는 내담자가 감정을 체험하지만 그 정도와 깊이가 약한 경우 행동이나 언어를 과장하게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감정 자각을 도와야 한다.
⑥ 직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적절한 행동을 지적하고 진정한 동기를 직면시켜 줌으로써 미해결 과제를 해소하도록 한다.
⑦ 감정에 머무르기(머물러 있기)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미해결 감정들을 회피하지 dkgrh 견뎌내도록 함으로써 이를 해소하도록 한다.
⑧ 역할연기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과거 혹은 미래의 어떤 장면을 현재에 벌어지는 장면으로 상상하여 실제 행동으로 연출해 보도록 한다.
⑨ 반대로 하기(반전기법 또는 역전기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평소 행동과 반대되는 행동을 해 보도록 요구함으로써 내담자가 억압하고 통제해온 부분을 표출하도록 해야 한다.
⑩ 빈 의자 기법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상대방이 맞은편 빈 의자에 앉아 있다고 상상하도록 한 채 대화를 유도함으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투사된 자기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도록 도와야 한다.
⑪ 자기 부분들 간의 대화
상담자는 내담자의 인격에서 분열된 부분 또는 갈등을 느끼는 부분들 간에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⑫ 욕구와 감정의 자각
상담자는 내담자의 생각이나 주장의 배후에 내재된 ‘여기-지금’에 체험되는 욕구와 감정을 자각하도록 도와야 한다.
⑬ 대화실험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특정 장면을 연출하거나 공상 대화를 하도록 제안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내적인 분할을 인식하도록 도와야 한다.
2. 상담의 목표
① 자신에 대한 책임감
상담자는 외부환경에 의존하던 내담자로 하여금 책임의 방향을 내담자 자신에게 돌리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결과를 수용하고 책임감을 가지도록 도와야 한다.
② 자각에 의한 성숙과 통합의 성취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의 경험을 더욱 명료하게 하고 자각을 증진시킴으로써 ‘여기-지금’의 삶에 충실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감정, 지각, 사고, 신체가 모두 하나의 전체로서 통합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③ 잠재력의 실현에 따른 변화와 성장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각성과 함께 외부 지지에서 자기 지지(Self-support)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고 변화와 성장을 향해 나아가도록 도와야 한다.
3. 개인과 환경 간의 접촉장애 유형
① 투사
개인이 자신의 생각이나 욕구, 감정 등을 타인의 것으로 지각하는 현상이다.
② 반전
개인이 다른 사람이나 환경에 하고 싶은 행동을 자기 자신에게 하는 것 또는 타인이 자기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행동을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하는 것을 말한다.
③ 내사
개인이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행동방식이나 가치관을 외부로부터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발생한다.
④ 융합
밀접한 관계에 있는 두 사람이 서로 간에 차이점이 없다고 느끼도록 합의함으로써 발생한다.
⑤ 편향
감당하기 힘든 내적 갈등이나 환경 자극에 노출될 때, 이에 압도당하지 않으려고 자신의 감각을 둔화시켜서 환경과의 접촉을 피하거나 약화시키는 것이다.
4. 형태주의 상담의 특징
① 지금 여기서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느냐와 각성을 중시한다.
② 현재 상황에 대한 자각에 초점을 두고 있다.
③ 인간의 성격이 자기 또는 자아(Self), 자기상 또는 자아상(Self-image), 존재(Being)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고 본다.
④ 인간은 신체, 정서, 사고, 감각, 지각 등 모든 부분이 서로 관련을 갖고 있는 전체로서 완성되려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한다.
⑤ 개인이 자신의 외부와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충분히 자각할 수 있다면 자신이 당면하는 삶의 문제들을 개인 스스로가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가정한다.
⑥ 개인의 발달 초기에서의 문제들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정신분석적 상담과 유사하다.
⑦ 상담 과정은 지금 여기에서의 지각과 경험을 내담자와 공유하면서 현재 경험을 명료하게 하고, 자신에 대한 지각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 정서 · 행동적 상담 (0) | 2022.08.18 |
---|---|
행동주의 상담 (0) | 2022.08.18 |
교류분석적 상담(TA) (0) | 2022.08.18 |
내담자중심 상담(인간중심 상담) (0) | 2022.08.18 |
개인주의 상담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