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보고형 성격검사는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기술하는 문항을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자신에게 해당되는지를 평정하게 하는 지필식 검사를 뜻한다.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는 크게 두 가지의 유형, 즉 다양한 성격특성을 광범위하게 평가하는 다차원적 검사(broadband multidimensional measure)와 하나의 특정한 성격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는 단일 검사(narrowband unitary measure)로 구분된다(Weiner & Greene, 2008).
단일한 성격특성을 측정하는 성격검사는 완벽주의 척도, 충동성 척도, 강인성 척도, 공격성 척도, 특질불안 척도 등과 같이 무수하게 다양하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성격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다차원적 성격검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1. NEO 성격검사(NEO-PI)
Costa와 McCrae는 1978년에 질문지형 성격검사를 개발하면서 신경과민성(N), 외향성(E), 개방성(O) 세 요인의 첫 글자를 따서 NEO-I(NEO-Inventory)라고 명명했으며 1985년에 우호성(A)과 성실성(C)을 추가하여 성격 5요인을 모두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하면서 NEO-PI(NEO-Personality Inventory)라고 개칭했다. 그리고 1992년에는 성격 5요인을 각각 6개의 하위척도로 세밀하게 측정하는 개정판 NEO-PI-R(NEO-Personality Inventory-Revised)을 발행했다. NEO 성격검사는 몇 년마다 한 번씩 개정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일부 문항을 수정하고 새롭게 규준을 마련한 NEO-PI-3가 발간되었다.
NEO 성격검사(NEO-Personality Inventory: NEO-PI)는 성격의 5요인을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기보고형 심리검사로서 Costa와 McCrae(1988, 1992)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McCrae와 Costa(1991)는 성격특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질문지 형식의 구조화된 검사가 최선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투사적 검사나 임상적 면담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NEO 성격검사는 다양한 연령층에 실시할 수 있으며 본인용, 관찰자용, 배우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NEO 성격검사의 240개 문항을 60개의 문항으로 단축한 NEO-Five Factor Inventory(NEOFFI)도 있다. 한국에서는 안현의와 안창규(2008)가 NEO 성격검사(성인용, 청소년용, 아동용)를 번안한 바 있다.
NEO 성격검사는 성격의 5요인, 즉 신경과민성,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을 측정하고 있으며 <표 4-2>에 제시되어 있듯이 각 성격요인은 6개의 하위척도로 측정되고 있다. NEO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이나 경험을 기술하는 문장을 제시하는 240개의 문항(5요인 하위척도×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검자는 각 문항에 대해서 5점 평정척도상에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NEO 성격검사의 결과는 [그림 4-2]와 같이 프로파일 형태로 제시된다.
이밖에도 성격의 5요인을 측정하는 심리검사는 다양하다. 성격특질을 기술하는 100개의형용사를 제시하여 성격 5요인을 측정하는 특질기술형용사(Trait Descriptive Adjectives; Goldberg, 1992)를 비롯하여 Big Five Inventory(BFI; John, Donahue, & Kentle, 1991), Ten-Item Personality Inventory(TIPI; Gosling, Rentfrow, & Swann, 2003) 등이 있다.
표 4-2 NEO 성격검사의 결과 프로파일
신경과민성 | 외향성 | 개방성 | 우호성 | 성실성 |
불안 | 따뜻함 | 공상 | 신뢰성 | 유능함 |
우울 | 자기주장성 | 감성 | 이타성 | 의무감 |
자의식 | 활동성 | 실행력 | 순응성 | 성취추구 |
적대감 | 사교성 | 심미안 | 솔직성 | 질서정연함 |
충동성 | 흥분 추구 | 아이디어 | 겸손함 | 자기절제 |
스트레스 취약성 | 긍정 정서 | 가치 | 온유함 | 신중성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의 기초 2 (0) | 2022.09.08 |
---|---|
직업상담의 기초 1 (0) | 2022.09.08 |
좋은 성격검사의 조건 : 신뢰도와 타당도 및 표준화 (0) | 2022.08.26 |
실존주의 심리학의 주요인물 (0) | 2022.08.22 |
Rogers의 생애와 인간중심이론의 발전 과정 (1)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