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인지 · 정서 · 행동적 상담

나들e 2022. 8. 18. 18:09
반응형

엘리스(Ellis)는 인간이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동시에 비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내담자의 모든 행동적 · 정서적 문제는 경험적으로 타당성이 없는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인지 · 정서 · 행동적 상담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논박을 통해 사고와 감정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 접근으로서 내담자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비합리적이나 비논리적 사고체계를 지닌 구직자에게 가장 효율적인 상담기법으로 볼 수 있다.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것으로서 인지과정의 연구로부터 도출된 개념과 함께 행동주의 및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나온 개념들을 통합하여 적용한 것이다.

 

* REBT의 발전 과정

엘리스는 1955년 인본주의적 치료와 철학적 치료, 행동주의적 치료를 혼합하여 합리적 치료(RT)’를 처음 고안하였으며, 이후 정서의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1962합리적 · 정서적 치료(RET)'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1993년 자신의 치료법에 행동적 측면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음을 받아들여 이를 합리적 · 정서적 행동치료(REBT)‘라 공식적으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개발한 치료법의 명칭에 인지적이라는 표현 대신 합리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그것이 자신의 실수였음을 최근에야 비로소 고백한 바 있다.

그 이유는 합리적이라는 표현이 이성에 의한 합리성의 한계를 지적한 포스트모던의 새로운 조류에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 인지 · 정서 · 행동적 상담(REBT)의 기본원리

① 인간이 지닌 신념은 쉽지는 않지만 변화한다고 믿는다.

역기능적 사고는 정서장애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다.

③ 행동에 대한 과거의 영향보다는 현재에 초점을 둔다.

유전과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이 불합리한 사고나 정신병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⑤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고를 분석하는 데서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⑥ 인지는 인간의 정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2. 비합리적 신념의 유형

 항상 고통이 없이 편안해야 한다.

② 인간은 다른 사람에게 의지해야 하며, 자신이 의지할만한 더욱 강력한 누군가가 있어야 한다.

어떤 사람은 악하고 나쁘며 야비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행위에 대해서는 반드시 준엄한 저주와 처벌이 내려져야 한다.

일이 내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 것은 끔찍스러운 파멸이다.

인간의 불행은 외부 환경 때문이며, 인간의 힘으로는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

위험하거나 두려운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상존하므로, 그것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항상 유념해야 한다.

⑦ 인간의 현재 행동은 과거의 경험이나 사건에 의해 결정되며, 인간의 과거의 영향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

⑧ 인간은 자신이 가치 있다고 인정받으려면 모든 영역에서 반드시 유능하고 성취적이어야 한다.

⑨ 인생에 있어서 어떤 난관이나 책임을 직면하는 것보다 회피하는 것이 더욱 쉬운 일이다.

인간은 다른 사람의 문제나 곤란에 대해 항상 신경을 써야 한다.

인간의 문제에는 항상 완전한 해결책이 있으므로, 이를 찾지 못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세상은 반드시 공평해야 하며, 정의는 반드시 승리한다.

⑬ 인간은 주위의 모든 중요한 사람들에게서 항상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

나는 아마도 미쳐가고 있는지 모른다. 그러나 미쳐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을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3. 비합리적 신념의 뿌리를 이루는 3가지 당위성

자신에 대한 당위성

나는 반드시 훌륭하게 일을 수행해 내야 한다.

타인에 대한 당위성

타인은 반드시 나를 공정하게 대우해야 한다.

세상(조건)에 대한 당위성

세상의 조건들은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4. ABCDE(ABCDEF) 모델(모형)

A(선행사건)

내담자의 감정을 동요하거나 내담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의미한다.

B(비합리적 신념체계)

선행사건에 대한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나 사고체계를 의미한다.

C(결과)

선행사건을 경험한 후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통해 그 사건을 해석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정서적 · 행동적 결과를 말한다.

D(논박)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이나 사고에 대해 그것이 사리에 부합하는 것인지 논리성 · 실용성 · 현실성에 비추어 반박하는 것으로서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E(효과)

논박으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로서 내담자가 가진 비합리적인 신념을 철저하게 논박하여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체한다.

F(감정)

내담자는 합리적인 신념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와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된다.

 

5. 상담의 목표

내담자의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신념체계를 합리적인 것으로 대치함으로써 행동적 · 정서적 문제들을 해결한다.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자기파괴적이고 자기패배적인 신념을 최소화하며, 현실적이고 관대한 철학을 가지도록 돕는다.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임으로써 문제에 직면하도록 돕는다.

 

6. 인지행동적 접근의 주요 상담기법

문제해결 접근

내담자들이 겪는 부적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지적 재구성과 대처기술훈련을 복합적으로 적용한다.

대처기술훈련

문제 장면에서의 구체적인 대처기술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킴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법이다.

인지적 재구성

비합리적인 사고와 신념을 인지적 방법과 행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합리적인 사고와 신념으로 수정 및 개선하는 기법이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심리학  (0) 2022.08.19
분석심리학  (0) 2022.08.19
행동주의 상담  (0) 2022.08.18
교류분석적 상담(TA)  (0) 2022.08.18
형태주의 상담  (0)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