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4

직업상담의 기초 2

(6) 진로 및 직업발달의 영향 요인 ① 개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Tolbert) ㉠ 교육정도 ㉡ 인성 ㉢ 성취도 ㉣ 가정·성별·인종 ㉤ 직업흥미 ㉥ 직업성숙도와 발달 ㉦ 장애물 ㉧ 직업적성 ㉨ 경제적 조건 등 ② 청소년의 직업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교와 친구집단 : 학교와 교사의 관계, 또래집단 ㉡ 성역할의 사회화 : 진로의식화와 직업결정에 영향 ㉢ 가정적 배경 : 부모의 직업, 가정의 구조, 부모의 사회적 · 경제적 지위 ⑦ 일(근로)의 경험 : 아르바이트, 실습체험, 시간제 취업 등 (7) 직업상담의 요인 ① 내담자 특성 평가 ② 개인적 정보와 실제적 자료와의 통합 ③ 외부정보 소개 ④ 직업적 가능성에 대한 명료성 ⑤ 대안탐구 ⑥ 의사결정 등 (8) 진로 및 직업상담의 기본원리..

심리학 2022.09.08

직업상담의 기초 1

1. 직업상담의 이해 (1) 용어의 정의 ① 직업(Vocation) ㉠ 일반적으로 보수를 받는 것을 전제로 한 일을 의미한다. ㉡ 주어진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특수한 일을 지칭하므로 직업생활 준비에서부터 은퇴까지를 말한다. ② 직업상담(Vocational Counseling) ㉠ 진로상담에 비해 좁은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서, 직업선택과 준비, 직업생활, 은퇴기 등에 제공되는 상담을 말한다. ㉡ 선택 가능한 직업의 결정, 각 직업의 조건들, 취업에 필요한 조건, 취업절차 등 보다 구체적인 수준에서 취업을 돕는 활동이다. ③ 직업지도(Vocational Guidance) ㉠ 아동 · 청년이 적극적인 이해와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여 종사할 수 있도록 능력을 기르는 동시에 적합한 안내와 조언..

심리학 2022.09.08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는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기술하는 문항을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자신에게 해당되는지를 평정하게 하는 지필식 검사를 뜻한다.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는 크게 두 가지의 유형, 즉 다양한 성격특성을 광범위하게 평가하는 다차원적 검사(broadband multidimensional measure)와 하나의 특정한 성격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는 단일 검사(narrowband unitary measure)로 구분된다(Weiner & Greene, 2008). 단일한 성격특성을 측정하는 성격검사는 완벽주의 척도, 충동성 척도, 강인성 척도, 공격성 척도, 특질불안 척도 등과 같이 무수하게 다양하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성격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다차원적 성격검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1. NEO 성격..

심리학 2022.09.01

좋은 성격검사의 조건 : 신뢰도와 타당도 및 표준화

우리 사회에는 성격을 평가하는 다양한 심리검사들이 사용되고 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성격평가를 위해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학술적인 연구나 전문적인 활동을 위해서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잘 입증된 심리검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는 학술적인 근거 없이 소수의 문항만으로 개인의 성격을 평가하고 단정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검사들이 많다. 이러한 검사들은 그저 흥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지만 신뢰도와 타당도가 결여된 검사로서 그러한 검사의 결과에 현혹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① 표준화 심리검사의 표준화(standardization)란 어떤 평가자가 어떤 사람을 대상으로 평가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채점하며 해석할 수 있는 표준적인 절차와 해석체계..

심리학 2022.08.26

실존주의 심리학의 주요인물

실존철학을 심리치료 분야에 처음으로 적용한 인물은 Ludwig Binswanger이며 두 번째의 선구적인 인물로는 Medard Boss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실존치료자들이 실존철학적 관점을 자신의 치료에 활용했지만 체계적인 이론이나 기법을 제시하지 않았다. 실존주의 심리학은 그 핵심 가정과 인간관이 실존주의 철학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여러 실존철학자의 사상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단일한 창시자를 논하기가 어렵다. 실존주의 심리학과 심리치료가 널리 알려지는 데는 Rollo May의 공헌이 크며, Irvin Yalom은 여러 저술을 통해서 실존주의 심리학의 이론체계를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1. Rollo May Rollo May(1909~1994)는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실존적 심리치료자로..

심리학 2022.08.22

Rogers의 생애와 인간중심이론의 발전 과정

Carl Rogers는 1902년 미국 시카고 근교의 오크파크에서 기독교 가정의 5남 1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모두 미국의 중서부 출신이었으며 근본주의적 기독교를 신봉했다. Rogers의 부모는 가족 모두가 하나님으로부터 선택받은 자로서 걸맞은 행동을 해야 한다고 하며 술 마시고 춤추고 카드놀이를 하는 등의 어떤 사교적 생활도 허용하지 않았다. 자녀들에 대하여 많은 애정을 기울였으나 기독교 신앙과 근면성을 강조하며 철저한 통제를 가했다. 이러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Rogers는 어린 시절에 건강이 좋지 않은 매우 예민한 아이였으며 가족으로부터 놀림을 받곤 했다. 가족을 벗어나 친구를 사귈 기회가 거의 없었으며 자기만의 공상세계로 빠져들거나 끊임없이 책을 읽으며 위안을 찾는 매우 외로..

심리학 2022.08.20

Adler의 생애와 개인심리학의 발달과정

Adler는 1870년 2월 7일 비엔나의 유복한 유태인 가정에서 4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골연화증으로 네 살까지 걷지 못했으며 다섯 살 때에는 폐렴에 걸려 죽을지 모른다는 진단을 받기도 했다. Adler는 생의 초기부터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겪은 병약한 아이였다. 그는 이러한 질병 경험으로부터 커다란 충격을 받았으며, 이는 그가 나중에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질병과 더불어 동생 Rudolf의 죽음은 의사가 되고자 하는 그의 목표를 강화시켰다. Adler는 어린 시절에 병치레를 많이 했기 때문에 어머니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아버지와는 좋은 관계를 맺었으나 '지그문트' 라는 형을 질투했기 때문에 청소년기까지 형제간 갈등을 경험했다. 동생이 태어나면서 어머니의 관심을 빼앗..

심리학 2022.08.20

Freud의 생애와 정신분석이론의 발전 과정 2

당시 Freud는 겉으로 보기에 성공한 신경과 의사로서 다섯 명의 자녀를 둔 행복한 가장이었으나 내면적으로는 우울과 공포에 휩싸여 있었다. 자주 우울감에 빠졌고 격렬한 분노를 경험했으며, 여행하기를 두려워했고 때로는 길 건너는 것에서도 공포를 느꼈다.Freud는 환자의 사례분석뿐만 아니라 자기분석을 통해 정신분석이론을 발전시켰다. Freud는 이미 1895년 7월에 꾼 '이르마의 주사'라고 명명된 자신의 꿈을 해석하면서 자기분석을 시작했다. 특히 1896년 10월에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Freud는 심한 죄책감과 신경증 증세로 괴로워했으며 이를 계기로 자기분석을 시작했다. 이러한 자기분석은 Freud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유아기 성욕설을 비롯한 정신분석이론의 골격을 발전시키는 토대가 되었다. 1897년..

심리학 2022.08.20

Freud의 생애와 정신분석이론의 발전 과정 1

Freud는 1856년 5월 6일 당시 오스트리아의 Freiberg라는 작은 마을(현재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유태인 아버지 Jacob Freud와 어머니 Amalie 사이의 첫아들로 태어났다. Amalie는 Jacob보다 19세 연하였으며 그의 세 번째 아내였다. Freud가 출생했을 때에는 아버지의 전처에게서 태어나 이미 장성한 두 명의 이복형제가 있었다. Freud는 인간의 성격과 정신병리를 설명하는 거대한 심리학적 이론체계를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인간관의 혁명적 변화를 통해서 20세기의 문화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 위대한 인물이다. Freud와 어머니의 관계는 비교적 갈등이 적었으나 아버지와의 관계는 복잡했던 것 같다. 1896년 부친이 사망했을 때 Freud는 심한 죄책감으로 괴로워했으며, 이..

심리학 2022.08.20

인간의 기본적 욕구 2

4.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입장 Adler는 열등감과 이를 보상하려는 욕구를 인간의 기본적 동기로 보았다. 어린 시절에 심한 신체적 열등감을 경험한 바 있는 Adler는 신체 기관에 결함이 있는 사람들이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한다는 것을 관찰하면서 열등감과 그에 대한 보상 욕구가 인생 전반에 걸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물론 인생의 모습을 결정하는 것은 열등감 자체보다는 이에 대처하는 방식이다. 인간은 평생 열등감을 극복하고 우월감을 추구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노력을 한다. Adler가 말하는 우월이란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여 유능함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는 한때 이러한 경향을 권력에의 의지라고 표현한 바 있으나 나중에 우월의 추구라고 개..

심리학 2022.08.20